High Bandwidth Memory (HBM)
고성능 컴퓨터 및 그래픽 처리 장치(GPU)에서 사용되는 혁신적인 메모리 기술입니다.
HBM은 기존의 메모리 기술과는 다르게 3D 스택 기술을 사용하여 제작됩니다.
간단히 말하면 DRAM을 여러 개 쌓은 구조입니다.
DRAM을 여러 개 쌓고 TSV (Through Silicon Via)
뚫어서 수직으로 연결하는 기술을 이용합니다
여러개의 CHIP을 세로로 쌓고 TSV (구멍을뚫고 연결)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
이 연결을 통해 데이터가 한침에더 다른칩으로 빠르게 전송됩니다
TSV 기술을 통해 HBM은 고밀도로 메모리를 쌓을 수 있으며
각 칩 간에 연결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 할 수 있습니다.
HBM의 장점
1.높은 대역폭: HBM은 여러 층으로 쌓인 메모리 칩 간의 짧은 전기적 경로를 통해 매우 높은 대역폭을 달성합니다.
이는 데이터를 더 빠르게 읽고 쓸 수 있게 하며,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2.낮은 에너지 소비: 3D 스택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HBM은 더 낮은 전력 소비를 실현합니다.
이는 더욱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가능하게 하고, 시스템의 발열 문제를 완화합니다.
3.고밀도 및 소형: HBM은 집적도가 높습니다 3D NAND FLASH를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.
단점은 당연하게 고비용입니다!
쌓는 과정에서도 비용이 많이 들 뿐더러 생산과정도 복잡해져 타 제품 보다 더 오래걸립니다
엔비디아 HBM?
요새 주가가 미쳐버린 엔비디아
HBM을 계속 언급하죠
납품업체라 볼 수 있는
삼성전자, SK하이닉스, 마이크론이 납품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
시장동향을 보면 HBM제품에선 SK하이닉스가 앞서가고 있는 거 같습니다.
고성능 컴퓨팅에 최적화: HBM은 주로 고성능 컴퓨팅 및 그래픽 처리 장치에서 사용되며,
대규모 병렬 처리 및 데이터 집약적 작업에 적합합니다.
딥러닝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과 같은 복잡한 작업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엔비디아가 설계한 그래픽카드 / GPU에 HBM이 필수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입니다.
고성능 그래픽카드를 개발하고 제조하는데
더 고성능 HBM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
업체들이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.
특히 앞으로 출시될 엔비디아 제품에 HBM3, HBM3E를 도입하는게 거의 확실시 되고있기때문에
경쟁이 더 심화 되고있습니다.
https://news.skhynix.co.kr/presscenter/developed-for-the-first-time-in-the-industry-hbm3-dram
SK하이닉스, 업계 최초 ‘HBM3’ D램 개발
SK하이닉스가 현존 최고 사양 D램인 ‘HBM3’를 업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.
news.skhynix.co.kr
삼성전자, 업계 최초 GDDR7 D램 개발 | 삼성반도체
업계 최고 속도 32Gbps GDDR7 D램 개발… 차세대 그래픽 D램 시장 선도
semiconductor.samsung.com
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공격적으로
HBM기술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.
*면접 준비를 할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생산하는 제품군의 이름이 다르기 때문에 참고해서
준비하시는게 좋을거같습니다
'반도체 > 반도체 이론, 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반도체 용어] 열팽창계수 (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, CTE) (0) | 2024.06.23 |
---|---|
[반도체 용어] Tunneling effects (0) | 2023.12.12 |
[반도체 용어] 메모리 반도체 DRAM? NAND FLASH ? (0) | 2023.12.11 |
[반도체 용어] Mean free path 평균자유행로 / 간단히 알아보자 (0) | 2023.12.03 |